예전에 책3권을 한번에 꾸러미로 묵어서 하나의 전자북가격으로 준다고 해서 관심있던 책은 이미 오래전에 읽었던터라...이 책제목을 보고,,,디커플링이 무슨내용일까 ?? 하는 호기심으로 읽어보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책을 읽다보니, 독자적이고 굉장히 현실적으로 도움되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현재 대부분의 의 비지니스는 디지탈로 이동해야하는 상황인데, 디지탈로 이동하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보세요..라고 권해드리고 싶다. 디지털로 가는 비지니스가 전부 기술을 앞세워서 가는걸로 생각했는데...실상은 고객들이 원하는것과, 고객들에게 편리함을 가져다주는것을 찾아서 구현해야한다는.. 고객중심으로 시작해야한다는 내용이다. 예전에는 제품과 기술력으로 소비자를 끌어당기려는 기업들이 돈을 벌어왔던 시장이라면, 디지털시대에는 고객들이 구매를 할때 거치는 과정과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를 분리해놓고, 어떻게 고객들이 원하는것들을 고객들의 시간과 노력을 줄여서 구매를 결정하게 만들수 있는지...그런식으로 고객들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단계부터, 고객의 모든과정을 분석해서 마켓팅방법을 찾아내는방법을 현재 글로벌하게 최고의 기업들을 대상으로한 설명이 들어있어서 현실에 어떤방법으로 분석하고 실행해갈것인지를 볼수있어서 상당한 도움이 된다. 그래서 디지털 스타트업 비지니스를 생각한다면 꼭 읽어보시라.....
책소개
시장 파괴의 주범은 기술이 아닌 고객이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테이셰이라 교수가 8년간 수백 개 대기업과 신흥 기업을 찾아다니며 실사례를 분석하는 집요한 연구 끝에 내놓은 경영전략서 『디커플링』. 저자는 대단한 기술도 없어 보이는 우버, 에어비앤비 등 신흥 강자가 시장 판도를 뒤바꾸는 방식에 공통 패턴이 있음을 발견했다. 바로, 디커플링(decoupling)이다.
디커플링은 말 그대로 분리하기, 해체하기, 끊어내기이다. 고객의 소비 활동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고리인 제품 탐색, 평가, 구매, 사용 중 약한 고리를 끊고 들어가 그 지점을 장악하는 디커플링으로 공룡 기업이 된 이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사고의 초점을 기업이 아닌, 기술이 아닌, 고객에 맞추고 있었다. 공격적인 디커플러(decoupler)들은 재빨리 고객의 불편한 소비 단계를 낚아채 빠른 속도로 시장을 장악했다.
저자는 파괴적 혁신 이론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이야기하며 기존 기업이 신생 기업의 디커플링 공격에 대응하는 방법은 물론, 디커플링 공식을 자신의 비즈니스에 도입해 사업 모델을 혁신하는 법, 에어비앤비 같이 파괴적인 스타트업을 꾸리는 법까지, 수백 개 기업 사례를 근거로 대단히 실전적인 로드맵을 제시해 누구나 디커플링을 일으키는 디커플러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테이셰이라 교수가 8년간 수백 개 대기업과 신흥 기업을 찾아다니며 실사례를 분석하는 집요한 연구 끝에 내놓은 경영전략서 『디커플링』. 저자는 대단한 기술도 없어 보이는 우버, 에어비앤비 등 신흥 강자가 시장 판도를 뒤바꾸는 방식에 공통 패턴이 있음을 발견했다. 바로, 디커플링(decoupling)이다.
디커플링은 말 그대로 분리하기, 해체하기, 끊어내기이다. 고객의 소비 활동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고리인 제품 탐색, 평가, 구매, 사용 중 약한 고리를 끊고 들어가 그 지점을 장악하는 디커플링으로 공룡 기업이 된 이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사고의 초점을 기업이 아닌, 기술이 아닌, 고객에 맞추고 있었다. 공격적인 디커플러(decoupler)들은 재빨리 고객의 불편한 소비 단계를 낚아채 빠른 속도로 시장을 장악했다.
저자는 파괴적 혁신 이론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이야기하며 기존 기업이 신생 기업의 디커플링 공격에 대응하는 방법은 물론, 디커플링 공식을 자신의 비즈니스에 도입해 사업 모델을 혁신하는 법, 에어비앤비 같이 파괴적인 스타트업을 꾸리는 법까지, 수백 개 기업 사례를 근거로 대단히 실전적인 로드맵을 제시해 누구나 디커플링을 일으키는 디커플러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나의 정리 노트 ================
디커플링은 제품을 가치 창출부분/ 비가치 창출부분/ 가치잠식부분으로 고객가치사슬의 전과정을 붆류해서 고객들의 입장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부분을 비지니스로 만들어내는 과정이라는 생각이다. .
고객가치사슬에 대한 정의는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지는 전체적인 소비경험을 포함한다. 고 아래글에 나와있다. 그래서 기존의 기업들이 기술적인것에 집중해서 파괴혁신이라고 하는것과는 많이 다르다. 기본적으로 고객가치사슬을 분석해서 고객중심으로 가치를 찾아낸다는 점에서 전혀다른 방향에서 찾아내는 혁신이다.
rkralrnr
위의 표는 미국인들의 라이프스타일에서 소비를 많이하는 8가지 분야를 선정해서,미국과 다른나라별로 얼마나 다른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