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샘터의 문학노트 ( Saemter's Writing note )

[책] 돈의 심리학,모건 하우절 지음| 이지연 옮김| 인플루엔셜 |

by 샘터0 2021. 12. 26.

모건 하우절 지음| 이지연 옮김| 인플루엔셜 |2021년 01월 21일 (종이책 2021년 01월 13일 출간)

 

한국에는 돈버는것에 관한 책이 무지하게 쏟아진다.그만큼 한국인들은 자신의 인생을 즐기는것보다 돈을 버는것에 더 관심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인으로 산다는것을 일을 하면 하루 웬종일 일에 시달리고, 쉬는날이면 피곤에 지쳐 하고싶은일들을 찾아나설 기력이 없는..그런생활의 연속이 되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돈에 관한 책들이 엄청 쏟아져나온것을 그냥 지나치다가, 돈에도 심리학이 관련될수가 있었나 ?? 싶어서 한번 읽어보기로 했다. 

 

이책에서 배운것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구절은 

"돈이 주는 가장 큰 배당금은 네 시간을 마음대로 할수있는 능력이다.네가 원할때, 원하는일을, 원하는 곳에서,원하는 사람과 함께, 원하는 만큼 오래 할 수 있다는 사실은 그 어떤 고가의 물건이 주는 기쁨보다 더 크고 더 지속적인 행복을 준다 " .이것이야 말로 사람을 행복하게 만드는 가장 뚜렷한 생활양식의 변수이다.

 

투자는 그사람의 투자목적과 상황에따라 적당한 자신만의 방식을 찾아야한다. 투자를 함에 있어서 가장 명심해야할것들은 파산 을 불러오는 리스크를 피하라, 파산은 기회가 있어도 다시 시작할 기회마저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투자를 할때는 개인의  안전투자방식이 위험한 투자보다는 훨씬 현실적이다. 개인이 안전한 최소한의 생활방식을 유지하는것을 담보해주는것을 마련되는 선에서 투자를 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투자를 해서 실패를 하더라도, 자신과 가족의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해갈수 있는 여력을 가질수 있는 한도내에서 투자를 하라는 이야기다.  돈을 많이 번 웨렌버핏도, 해마다 돈을 많이 번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60여년을 유지해온 투자가 결국 최근 20년에 집중적으로 많은 돈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다. 그만큼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투자가 가장좋은 결과를 준다는 이야기다.

 

이책은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투자정보나 숨어있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돈을 어느선에서 어떤방식으로 인생에서 이용하는것이 좋은것인지, 돈으로 인해서 가질수 있는 심리적인 압박을 없애고, 인생을 즐길수 있는 단계로 활용하는것이 돈을 다루는 심리학이다.

 

이책을 읽고서 생각해보면, 지금 주식투자를 글로벌기업 위주로 하는데, 그중에 오르락 내리락을 심하게 하는 주식들을 그날 그날 트레이딩종목으로 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주 안정적이고 우수한 글로법업체인 애플주식은 지속적으로 가격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어서 그냥 사놓고 기다리면 된다. 반면에 테슬라는 오르락 내리락 그 편차가 심하다. 그래서 데이 트레이딩종목으로 정해두고 해도 괜찮을듯하다. 반면에 나머지 글로벌 업종은 대부분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지만, 결국에는 대부분 상승곡선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구매한 가격보다 가격이 하락하면 더 살수도 있고, 귀찮으면 그냥 기다려도 되지 않을려나 싶다...

 

-------------------------------

가장 크게 성공한 투자자 vs. 가장 크게 파산한 투자자
무엇이 이 둘의 운명을 갈랐는가

『돈의 심리학』은 월스트리트저널에서 10년 넘게 금융과 투자에 대한 글을 써온 칼럼니스트이자 콜라보레이티브 펀드 파트너로 활동중인 모건 하우절의 첫 책이다. 총 20개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리텔링의 천재’ ‘소설가의 기술을 가진 금융 작가’라는 별명답게 모건 하우절이 들려주는 20개의 투자 스토리는 대단히 매력적이다. 하나하나 실화와 실증에 바탕을 두되 이야기의 재미와 투자의 교훈을 빠짐없이 담아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탱크 부대 이야기,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에 관한 빌 게이츠의 고백, LA에서 주차 대행 아르바이트를 하던 시절 페라리에 얽힌 에피소드, 워런 버핏의 놀라운 수익률의 비밀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흥미롭게 전개하여 읽는 이들을 단번에 사로잡는다. 또한 그 끝에는 하나같이 감탄을 부르는 탁월한 통찰을 담고 있다. 부에 관한 문제는 결국 학력, 지능, 노력과 직접적 관련이 없으며 돈에 관한 인간의 편향, 심리, 다시 말해 ‘돈의 심리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깨닫게 한다.